Database/Oracle22 [오라클(Oracle) ] 셀프 조인(SELF JOIN) [오라클(Oracle) ] 셀프 조인(SELF JOIN) 셀프 조인(SELF JOIN)은 한 테이블 내의 칼럼끼리 연결하는 조인이다. 따라서 FROM 절에 동일 테이블을 두 번 언급해야 하기 때문에 별칭을 사용해야 한다. 1 2 3 SELECT A.칼럼1, B.칼럼2,... FROM 테이블 A, 테이블 B WHERE A.칼럼1 = B.칼럼2 셀프 조인(SELF JOIN)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예시는 사원의 관리자를 조회하는 경우이다. 모든 사원들이 사원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고 각 사원의 관리자에 해당하는 인물들도 사원 테이블에 있어 한 테이블 내의 칼럼끼리 연결하여 조인해야 한다. 1 2 3 SELECT A.NAME, A.MGR, B.NAME FROM EMP A, EMP B WHERE A.MGR = B.. 2022. 4. 17. [오라클(Oracle) ] 외부 조인 / OUTER JOIN / ANSI JOIN [오라클(Oracle) ] OUTER JOIN / ANSI JOIN 등가 조인(EQUI JOIN)에서 공통 칼럼으로 테이블을 연결했을 때 일치하는 값이 없는 행은 출력하지 않았던 것과는 달리 외부 조인(OUTER JOIN)은 기준 테이블 중 일부 행이 일치하는 값이 없더라도 모든 행을 출력하는 조인 방법이다. 예를 들어 student 테이블에서 학생별로 지도교수가 있다고 할 때 지도교수가 정해진 학생이 있고 지도교수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학생이 있을 수 있다. 공통 칼럼 교수 번호로 조인을 통해 student 테이블의 학생 이름, 담당 교수번호, professor 테이블의 교수 이름을 출력한다고 할 때 등가 조인(EQUI JOIN)을 사용한다면 지도교수가 정해진 학생만 출력이 될 것이다. 하지만 아직 지.. 2022. 4. 17. [오라클(Oracle) ] 등가 조인(Equi Join) / 비등가 조인(Non- Equi Join) [오라클(Oracle) ] 등가 조인(Equi Join) / 비등가 조인(Non- Equi Join) 1. 등가 조인(Equi Join) 2. 비등가 조인(Non- Equi Join) 1. 등가 조인(Equi Join) 등가 조인은 "=" 연산을 사용해 테이블을 조인하는 방법이다. 테이블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칼럼을 "=" 비교를 통해 값이 일치하는 행을 연결시킨다. 이때 일치하는 값이 없는 행은 출력되지 않는다. 1 2 3 SELECT 테이블1.column, 테이블2.column, ... FROM 테이블1, 테이블2 WHERE "=" 비교 조건(EX. 테이블1.column1, 테이블2.column2); cs 사용법은 위와 같은데, SELECT 절에서 출력할 칼럼을 "[해당 테이블].[칼럼]" 형식으로 입.. 2022. 4. 17. [오라클(Oracle) ] 시퀀스(SEQUENCE) [오라클(Oracle) ] 시퀀스(SEQUENCE) 1. 시퀀스(SEQUENCE) 2. 시퀀스(SEQUENCE) 생성 3. CURRVAL과 NEXTVAL 4. 시퀀스(SEQUENCE) 수정 5. 시퀀스(SEQUENCE) 삭제 1. 시퀀스(SEQUENCE) 시퀀스(SEQUENCE)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순번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객체이다. 테이블에 행을 insert 할 때 해당 칼럼은 자동으로 일정 값이 증가(일반적으로 1씩 증가)한 값이 저장된다. 주로 primary key(기본키) 값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. 또한 하나의 시퀀스(SEQUENCE)는 여러 테이블에서 사용할 수 있다. 2. 시퀀스(SEQUENCE) 생성 1 2 3 4 5 6 7 create sequence 시퀀스명 increment .. 2022. 4. 15. 이전 1 2 3 4 5 6 다음